끄적끄적

헥사코 테스트 (MBTI보다 한국인에게 적합하다는 테스트)

huers 2023. 2. 27. 16:45
반응형

헥사코(HEXACO) 테스트라고 들어보셨나요?

유튜브를 자주 보는데 어쩌다어른 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헥사코 테스트라는걸 알게 되었어요.

김경일 교수님말에 따르면 한국인들에게는 MBTI 보다 테스트 결과가 더 적합하다고 하네요.

 

MBTI는 매우 흥미로운 성격검사 도구이긴 하지만 최근 몇 년간의 사회적 모습을 보여주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될 순 있지만

타고난 기질, 본성, 발전 가능성, 업무 적합도 등을 판단 할 수 있는 검사 도구라고 보기엔 힘들다고 하네요.

 

예를 들어서, "나는 주도적으로 말한다" 라는 질문을 신입사원과 전무에게 물어봤을때

전무는 당연히 "매우 그렇다"라는 대답을 할테고, 신입 사원은 경청하고 배워야 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전혀 아니다" 라는 대답하겠죠.

반응형

교수님 얘기를 듣다보니 동의되는 부분이 많아서 저도 헥사코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저는 테스트 시간이 대충 15분 정도 걸린것 같아요)

각 항목 유형은

으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검사 결과를 육각형 그래프로 그려보니까 더 눈에 보기 쉽네요. (PPT로 했습니다)

 

각 성질의 설명은 방송에서 김경일 교수님의 설명을 토대로 아래 적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해보신 후 자신에게 부족한 점은 뭔지, 발달된 것은 뭔지 확인해보세요.

1. 정직겸손성(HONESTY-HUMILTY) : 다른 사람들에게 거짓말을 잘 못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성격. 정직겸손성은 타인의 시선을 많이 의식한다는 점이 있습니다.

2. 정서성(EMOTIONALITY) : MBTI의 F 성향이라고도 부를 수 있는 정서성은 타인과 교감을 할 때 내면의 교감을 많이 사용하는 성질입니다. 영화나 드라마를 볼 때 캐릭터에게 잘 동화가 되며 남의 슬픔에도 잘 동조되는 성격입니다.

3. 외향성(EXTRAVERSION) : 외향성은 사람을 상대할 수 있는 연료량이 많다는 것입니다. 빨리 연료가 바닥날수록 내향적이고, 연료가 가득하고 오래 갈수록 외향적이라고 칭합니다. (나서는걸 좋아하고 에너지가 넘치는 성격이 외향적이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4. 원만성(AGREEABLENESS) : 타인과 잘 지내려는 욕구를 뜻합니다. 원만성이 높은 사람은 갈등을 잘 해결하고 타인과 부딪히지 않게 중간 조율자 역할을 잘 합니다. 

5. 성실성(CONSCIENTIOUSNESS) : 장남, 장녀와 어울리는 성질입니다. 책임감이 강하고 무엇이 올바른 방향인지에 대한 인생의 철학도 생각합니다. "멱살잡고 캐리하는 스타일" 이고, 나이가 더 많은 사람들에게도 귀감이 되기도 합니다. 단 성실성이 너무 높은 사람은 자신의 행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6. 개방성(OPENNESS) : 내가 틀렸음을 받아들일 줄 알고, 내가 몰랐던 사실을 알게 되는 걸 두려워 하지 않는 성질입니다. 미국의 경우 청년 스타트업이 많은 주 일수록 개방성이 높다고 합니다. 타인과 잘 못지내도, 심지어 마찰이 있더라도 변화 추구를 두려워하지 않는 사람이 점수가 높습니다.

 

헥사코 테스트 링크 :  https://hexaco.org/scaledescriptions

 

The HEXACO Personality Inventory - Revised

Scale Descriptions Domain-Level Scales Honesty-Humility: Persons with very high scores on the Honesty-Humility scale avoid manipulating others for personal gain, feel little temptation to break rules, are uninterested in lavish wealth and luxuries, and fee

hexaco.org

 

 

반응형